연예 & 엔터

폭싹 속았수다 애순이의 "보리콩산 보리콩완", 그 뜻 알고 보면면 더 꿀맛 아니꽈?

밀덕남 2025. 4. 5. 15:34
728x90
반응형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애순이(아이유)가 금명이에게 보리콩을 먹여주는 장면, 다들 기억하쥬?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밥 속에 숨어있는 보리콩을 숟가락으로 떠먹여주면서 흥얼거리는 노래가 있었으니... 바로 "보리콩산 보리콩 보리콩완!" 어린 금명이도 덩달아 노래를 따라 부르면서 밥을 '하영' 잘 먹는 모습이 어찌나 '곱들락' 하던지!

 

근디, 이 "보리콩산 보리콩완"에 숨겨진 뜻이 있다는 사실, 혹시 '알았수다?' 정확한 뜻이라고 '멍' 말할 순 없지만, 인터넷을 '고라줍서' 찾아본 결과 제주도 방언이라고 합니당.

 

보리콩산: 보리콩 샀다

 

보리콩완: 보리콩 왔다

 

보리콩: 완두콩의 제주 방언

 

아니, 완두콩은 알아도 보리콩은 도대체 뭠수꽈?

 

마트에서 초록색 콩을 보고 "오메, 완두콩이꽈?" 했는데, 알고 보니 보리콩이었던 경험, 다들 한 번쯤은 있지 않으꽈? 겉모습만 봐선 '촐람생이' 처럼 헷갈릴 수 있지만, 완두콩과 보리콩은 엄연히 '또시' 다른 콩이라는 거!

 

하지만 드라마에서는 완두콩의 제주 방언으로 쓰인 것으로 '봅데강'. 하지만 실제로 보리콩은 완두콩과는 다른 콩이우다.

 

겉모습부터 '혼저옵서예' 다르우다!

 

가장 큰 차이는 바로 겉모습! 완두콩은 동그랗고 '멘도롱' 매끈한 표면을 자랑하지만, 보리콩은 길쭉한 타원형에 가깝고 표면이 살짝 주름져 있수다. 색깔도 완두콩은 초록색이지만, 보리콩은 연두색부터 갈색빛이 '하영' 도는 색까지 '어떵 햄수다?'

 

쓰임새도 '혼저옵서예' 다르우다!

 

완두콩은 주로 신선한 채소로 쓰여 '고라줍서' 생으로 먹거나 삶아서 반찬, 볶음 요리 등에 '하영' 쓰입니당. 반면에 보리콩은 말려서 오래 보관할 수 있고, 주로 밥 지을 때 섞거나 콩자반, 장류 제조 등에 쓰인다는 거! 보리콩은 이름처럼 보리와 함께 먹으면 '돗' 마냥 찰떡궁합이라 예로부터 곡물과 함께 섞어 먹었수다.

 

효능 비교: '어떵 햄수다?' 뭐가 더 좋은 콩이꽈?

 

비슷하다면 몸에 더 좋은 걸 먹는 게 좋지 않겠수꽈? 완두콩과 보리콩은 '멍'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건강 '간세' 식품이지만, 각각의 영양학적 특징이 조금씩 다르우다.

 

완두콩: 단백질 '하영', 비타민 C 풍부! 면역력 강화에 '하영' 도움 되고, 피부 건강에도 '하영' 좋수다.

 

보리콩: 식이섬유 '하영', 철분과 칼슘 '하영'! 장 건강에 '하영' 좋고, 빈혈 예방과 뼈 건강에 '하영' 도움 줍니당.

 

칼로리만 놓고 보면 완두콩이 조금 더 낮아서 다이어트하는 사람들에게 '하영' 유리할 수 있수다. 하지만 보리콩은 포만감을 오래 유지해주는 효과가 있어서 '고망' 만큼 조금만 먹어도 오랜 시간 든든함을 느낄 수 있다는 거! '알았수다?'

 

보리콩, '어떵 햄수다?' 맛있게 먹을까?

 

보리콩은 주로 밥 지을 때 함께 넣어 먹거나 반찬으로 '하영' 활용됩니당. 보리콩을 충분히 불린 후 밥에 넣어 짓거나 콩자반을 만들어 먹으면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하영' 섭취할 수 있수다. '또시' 보리콩을 삶아 샐러드에 넣거나 된장찌개에 추가하면 영양도 보충되고 고소한 맛도 더할 수 있다는 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처럼 밥에 넣어 지어 먹는 게 젤로 흔한 방법이우다.

 

자, 오늘은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 나온 보리콩에 대해 '하영' 알아봤수다. 이제 보리콩 '하영' 드시고 건강 '하영' 챙기십서! '혼저옵서예'!

 

#폭싹속았수다

#아이유

#보리콩

#제주도

#제주도방언

#드라마

#드라마추천

#건강

#건강정보

#음식

#요리

#보리콩산보리콩완

#애순이

#금명이

#완두콩

#콩요리

#제철음식

#4월제철음식

#5월제철음식

#6월제철음식

#식이섬유

#단백질

#영양

#건강식단

#다이어트

#k드라마

#넷플릭스

#넷플릭스추천

#제주

#제주여행 (제주도 관련 내용 강조 시)

#방언

#사투리

#우리말

 

728x90
반응형